
치매란?
치매란,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질환 등에 의해 기억력, 언어능력, 지낭력,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의
기능 저하를 일으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적인 다발성 장애"를 말합니다.
치매가 의심되는 증상
치매의 초기증상은 의심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노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증상으로 오해되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치매환자들이 갖는 초기증상들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빨리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아보는것이 중요합니다.
기억장애 |
- 이름, 전화번호 등을 기억하기 힘듭니다. |
- 전에 들었던 이야기를 잊어버려 같은 질문을 반복합니다. |
- 어떤 일을 해 놓고도 잊어버려 다시 합니다. |
-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몰라 찾아 헤맨 적이 있습니다. |
- 오전의 일을 오후에 잊거나, 방금전의 일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
- 가스불 위의 음식을 잊어버려 태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언어장애 |
- 하고 싶은 말이나 표현이 금방 떠오르지않고 물건이름이 잘 생각나지 않습니다. |
- 책을 읽을 때 같은 문장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어야 이해가 됩니다. |
- 심한 경우 신문이나 잡지를 읽을 때 이야기 줄거리를 파악하지 못합니다. |
시/공간 능력저하(방향감각 상실) |
- 방향 감각이 떨어져서 길을 잃거나 자주 가던 곳도 헤매는 경우가 있습니다. |
- 심한 경우 집안에서 화장실을 못 찾고 헤매게 됩니다. |
계산능력저하 |
- 계산 능력이 떨어져서 이전에 잘하던 돈 관리를 못하게 됩니다. |
- 물건을 사고 거스름돈을 잘못 받아오는 경우가 생깁니다. |
이상행동 |
- 누군가 자신의 물건을 훔쳐갔다, 배우자가 바람을 피운다, 남이 나를 해치려한다, 등의 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
- 때리거나 고함을 지르거나 욕설을 하는 등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
- 옷을 입었다 벗었다 하거나 장롱이나 서랍에 있는 모든 옷을 꺼내어 다시 정리하고 또 꺼내어 다시 정리하는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
- 쓸데없이 외출하여 바깥을 배회하는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
치매와 기억장애의 차이점
나이가 들어 깜빡깜빡하는 것은 치매가 아닙니다. 흔히들 건망증이라 불리는 것으로 어떤 사실을 잊고 있다가 누군가 말을 해 주거나 특정한 상황이 벌어지면
금방 기억해 내는 현상으로 정상인에게도 있을 수 있습니다.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질병
많은 사람들이 치매를 하나의 병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치매는 진단명이 아니라 여러 진단명을 아우르는 일종의 증상으로 그 원인은 실로 다양합니다.
그 중 제일 많은 원인은 퇴행성 질환인 알츠하이머병과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혈관성치매입니다.
치매 진단법
치매를 쉽게 설명하면 우리 머리 속 뇌의 여러 기능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치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른 기능은 정상이나 기억력만 저하되어 있는 경우는
치매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다른 기능은 정상이며 언어기능만 소실되면 치매라기 보다는 실어증이라고 해야 옳습니다. 이런 뇌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자와 마주 앉아 대화도 하고 환자로 하여금 글씨를 쓰고 그림도 그리게 해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치매의 진단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혈액검사나 신경학적 검사 뿐 아니라 심리 검사를 포함한 여러 신경인지기능 검사가 필요하며 뇌의 기질적 병변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뇌 CT, MRI 혹은 뇌 PET 촬영을 합니다.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수칙
01 | 밤에도 적당한 조명을 유지합니다. |
02 | 환자의 수준에 맞게 소일거리를 주어 성취감을 갖도록 합니다. |
03 | 매일 20 ~ 30 분간 평지걷기를 하고 안전하고, 편한 복장에 쿠션이 좋은 운동화를 신도록 합니다. |
04 | 미끄러운 슬리퍼보다 운동화를 착용하고, 바지가 흘러내려서 걸러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05 | 환자가 잘못된 주장을 할 때는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려야 하며 맞서 싸우거나 고치려하면 안됩니다. |
06 | 갑작스런 변화나 복잡한 일을 하면 매우 불안해하므로 가구이동, 이사와 같은 환경변화를 줄이고 일과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해 줍니다. |
07 | 자극적인 TV화면은 환자에게 공포감이나 환상을 갖게 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08 | 화장실을 찾지 못해서 헤매는 경우 화장실 문에 인형을 달아두어 표시를 합니다. |
09 | 대소변 실수를 할 때 나무라지 않도록 합니다. |
10 | 식사를 하고도 음식을 계속 먹으려고 하는 경우 식단표를 만들어 식사했음을 알려주고 그래도 계속 먹으러 하면 깨지지 않는 그릇에 과자와 같은 간단한 간식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